
앞으로 세상이 크게 위험해질 것으로 예상되어 비상시에 대비할 것들을 생각해봤습니다. 서로 좋은 생각들을 한번 모아보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글을 올려봅니다.
비상시 준비 물품
* 지금 한가할 때 준비하는 것이 좋다.
지금부터 2년 반 정도를 대비한다고 생각하며 준비하길 권한다.
[격암유록]에서는 산도 불리하고, 물도 불리하다고 했다. 착하고, 바르고, 지혜로운 마음만이 살 길이라고 했다. 그리고 사람들의 무리를 피하고 최대한 몸을 은신하라고 했다.
시골은 대도시보다는 조금 더 유리할 뿐 시골에 간다고 사는 것이 아니다.
1. 물과 물통, 카라비너와 케이블타이
우물, 약수터, 시냇물 같은 근처 식수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데 없다면 단기적인 대비가 중요하다.
식수통(바이오 물통 10L 2개~4개 추천) + 핸드카트(캐리어) 바구니 달린 거 추천 (10L 바이오물통 2개가 쏘옥 들어간다) (주의 : 20L 짜리는 너무 무겁다)
생수 충분하게 구입하기.
철물점이나 다이소에서 카라비너 중간 이상 크기로 몇개를 구입하고 케이블타이는 작은 것과 좀 긴 걸로 구입한다. 입구가 넓은 둥근 플라스틱통이 있다면 입구 양쪽에 구멍을 뚫고 케이블타이로 2개의 고리를 만들고 아파트 베란다 난간기둥에 카라비너를 체결하고 케이블타이 고리를 함께 체결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물이 없을 때 아파트에서도 빗물을 받을 수 있다.


2. 쌀
생수 페트병 같은 것을 4~5일 잘 말리고 쌀을 담는다. 쌀을 담을 때는 바닥에 탁탁 치면서 쌀의 밀도를 높여주는 것이 좋다. 공기를 줄여주어야 보존이 더 오래간다.
페트병은 두께가 두꺼울 수록 좋다.
햇빛을 받지 않고, 습도가 낮게, 온도가 서늘하게 보관하면 최장 5년까지 곰팡이 없이 쌀을 보관할 수 있다. 쌀을 담고 나서 산소흡수제 1개를 넣으면 더 좋지만 그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 햇빛, 습도, 온도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쌀은 햅쌀보다 묵은쌀이 보관에 더 좋다. 햅쌀보다 묵은쌀이 수분함량이 작기 때문.

일반적인 깔때기로 넣을 경우 깔때기 구멍이 작아 잘 안들어가는데 특히 팥, 콩 같은 잡곡을 넣을 때는 더 안들어간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페트병 뚜껑의 윗면을 칼로 동그랗게 도려내고(장갑끼고 조심히) 2개의 구멍 뚫린 뚜껑을 서로 윗면방향으로 머리를 맞대고 면테이프(다이소)로 둘러 붙이면 아주 넓은 구멍의 휴대가 간편한 “페트병 깔때기”를 만들 수 있다.
비상시 ②번만 가방에 휴대하고 다니면 좋을 듯싶다. 빈 페트병을 구해 상단을 적절히 자르고, 하단을 적절히 자르면 아래 하단 모양으로는 곡식을 퍼담고, 위쪽 상단으로는 깔때기를 만들 수 있다.
3. 양초 + 랜턴
티라이트 캔들 작은거 하나면 4시간 정도 불을 켤 수 있다. 일반 양초는 파라핀이 재료이기에 실내에서 켤 경우 자동차 배기가스에 맞먹는 유해한 가스가 많이 나온다.(벤젠, 일산화탄소, 미세먼지 등)
따라서 천연초를 구입하길 권함.
야자열매 기름으로 만든 [벨리타캔들 천연 팜왁스 티라이트 캔들 100개] 추천함 (옥션에서 16,560원 배송비 포함)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E283640063&frm3=V2
랜턴은 저렴한 걸로 몇개.

4. 비상시 용변 해결하기
캠핑용 휴대용 좌변기도 좋을 듯하지만 사용하는 비닐 크기가 너무 커야 해서 적절치 않다고 보인다.
양동이 + 원형 플라스틱통 또는 양철통(양동이에 쏙 들어갈만한 것으로 하인즈 3.23kg 케첩통 같은 것이 좋다.
여기에 비닐을 씌운뒤 양동이 안에 넣어 사용하면 된다) 높이 조절은 조그만한 반찬통 같은 걸 깔고 그 위에 양철통을 놓으면 된다. + O형 변기 하드커버 중형(또는 구멍뚫린 적절한 넓이의 판) + 큰 비닐봉투(롤백 35x45cm(500매) 추천)
휴대용소변기(남성용/여성용. 몇천원대) + 야전삽


5. 화장지(휴지)
몸이 문명에 길들여진 탓으로 없으면 매우 고역이다. 충분히 준비하자.
6. 단파라디오
단파라디오는 일반라디오에 비해 넓은 지역이나 산악지형에서도 깨끗하게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비상시 모든 통신이 어려울 수 있기에 바깥 상황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다.
평소 FM수신률 최고를 자랑하는 [텍슨 Tecsun PL-380] 추천(중국제품으로 약 5~6만원).
가성비 좋고, 온도계 기능도 있다. 중국은 단파라디오 강국이다.
“ETM" 버튼을 꾹 누르고 있으면 잡을 수 있는 모든 FM채널들을 자동으로 잡아준다.

7. 라면, 국수, 밀가루, 누룽지
미역, 다시마, 말린 나물, 북어포, 멸치 등
라면은 보존기간이 6개월이고 국수는 2년이다.
밀가루는 [우리밀 통밀가루 20kg] (약 5만원)를 쌀 보관하듯 페트병에 담아 보관하면 된다.
누룽지는 물만 있으면 끓이기 쉽고, 건조하므로 쌀보다도 보존기간이 더 길다. 저녁에 물에 담궈두고 불려서 아침에 먹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연료도 절약된다.
8. 설탕 (10kg/ 20kg 비정제 원당 추천)
소금보다 설탕이 더 중요하다. 비정제 원당은 몸에도 좋고, 몸에 필요한 당분과 열량, 영양소를 공급해준다.
9. 소금, 식초, 참기름, 된장, 고추장 등등
천일염이 저렴하고 좋다.
10. 휴대용 가스버너 + 부탄가스
11. 캠핑매트와 은박돗자리
캠핑매트(저렴하고 튼튼한 것으로 바닥냉기를 막을 수 있다. 예>발포매트)(가격 1~2만원)
캠핑매트나 요 위에 은박돗자리를 깔고 그 위에 얇은 면커버를 깔고 자면 체온이 반사되는 원리로 어느정도 따뜻하다.(150x170cm 다이소에서 3천원 )
난방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되더라도 얼어죽지 않는다.

12. 은박담요
다이소에서 천원 정도로 몇 개 사두면 좋다. 비상시 몸에 휘감아 체온을 보온할 수 있고, 여름철 집 창문에 분무기로 물을 뿌려 붙이면 뜨거운 햇볕을 막아 집안 온도를 낮출 수도 있다.
다이소에서 파는 '물풀'을(천원에 2개) 약간만 섞어 분무하면 떨어지지 않고 잘 붙는다. 집창문에 겨울철 뽁뽁이를 붙일 때도 물풀을 섞어 붙이면 잘 안떨어지고 좋다.

13. 라이터
촛불을 켜거나 여러 용도가 있다. 1만원 정도에 50개 구입가능. 라이터, 담배, 술, 통조림은 비상시 화폐역할을 한다.
그렇다고 물물교환하려고 사람들을 만나려고 하지 않길 권한다. 말세에는 최대한 사람들을 피하고 몸을 은신하는 것이 좋다.
14. 깡통따개, 휴대용 접이칼, 휴대용 접이톱(땔감이나 무언가를 자르는데 필요), 면테이프(회색, 다이소에서 천원)
깡통따개는 여러 종류 가운데 [뉴로즈 오프너]로 검색하면 나오는 형태가 가장 쓰기좋고 철가루도 덜 발생하며 저렴하다.
1천원~2천원으로 제빵제과 전문가들도 이걸 쓴다고 한다. 몇만원짜리보다 실용적이다.
휴대용 접이칼(다이소에서 천원)
면테이프(다이소에서 천원) + 전기 테이프(다이소에서 천원(2개입)

15. 신문지
여러모로 쓸모가 많다. 물건포장재, 완충재, 야채보관, 서랍바닥깔개, 난방 안될 때 바닥에 깔고 매트깔면 보온효과, 배변시나 음식물쓰레기 감싸면 악취감소 등.
온라인으로 구매가능하다.
깨끗한 신문지 10kg - 9,000원(무료배송)
https://smartstore.naver.com/sarangaesanghoe/products/9626885289?NaPm=ct%3Dlv68dk3s%7Cci%3D3811bfadfba64d693b1c6bf643c4dd8745b65581%7Ctr%3Dsls%7Csn%3D9914244%7Chk%3D9bf61ab37dcfdec7d5a1ac70ce2b801ff641318b
16. 헤어커터기
도르코 헤어커터기 추천(약 2천원) + 면도날은 문방구에서 구입.
이것만 있으면 혼자서 머리를 다듬고 자를 수 있다. 면도날을(1통에 10개입) 구입해 끼워 사용하면 되고, 면도날 2개로 1년 이상 쓸 수 있고 날이 무디면 반대편으로 바꿔 끼우면 된다.

17. 비누
물이 부족할 때는 몸을 씻을 때 수건에 물을 적셔 짠 뒤 몸을 닦자.
18. 소주
잇몸 질환시 소주(20도 이상)를 10분만 머금고 있어도 잇몸 질환이 치료된다. 또 체온이 떨어질 때 좋은 약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힘든 상황에서 정서적 안정을 제공한다.
19. 비상약
꿀, 소독약(포비돈), 붕대, 밴드, 후시딘, 마데카솔, 녹두, 식초, 정로환
: 꿀은 천연항생제로 상처에 약을 대신해 발라도 좋다. 포비돈은 상처에 직접 바르지 않고 상처 주변에 바르는 게 원칙이다.
후시딘은 소독효과가 크고, 마데카솔은 상처를 흉지지 않고 잘 아물게 한다. 이런 게 없으면 고들빼기즙이나 도깨비풀즙, 메꽃즙 같은 들꽃과 풀즙을 바르면 좋다. 대부분의 식물에는 비슷한 효능이 있다.
식중독이 생긴 경우 녹두죽이 좋고, 설탕물이나 꿀물에 식초를 타서 마셔도 효과적이다. 정로환은 배탈 설사에 좋다.(제품겉상자가 주황색으로 된 것)

20. 빠루
실내문이든 실외문이든 안열리거나 막힌 상황에서 해결할 수 있다.
21. 모기장
1개에 1만원 정도함. 앞으로 악취와 부패한 환경이 되면 꼭 필요할 수 있다.

22. 겨울철 신발을 따뜻하게 하는 법
부츠의 신발 깔창을 꺼내 은박보온재(두께 3mm 정도)에 놓고, 모양을 따라 볼펜으로 그려 오려냅니다. 그리고 깔창 밑에 은박면이 위를 향하도록 넣고, 그 위에 깔창을 깔면 됩니다. 은박이 열을 반사해주는 원리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무리 추운 날씨에도 발바닥이 시리지 않고 따뜻하고 쾌적합니다. 은박돗자리나 일반 은박보온재(두께 3mm)가 아닌 아이스크림 포장지 등에 쓰이는 은박보온재는 얇은 편으로 이 경우 두겹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차량 점프스타터
겨울에는 장시간 차량을 운행하지 않으면 방전되기 쉽다. 앞으로는 이런 상황에서 사람을 부르기 어려울 수 있다. 차량 점프스타터가 있으면 쉽게 차량 시동을 걸 수 있다.
국산은 10만원 정도부터이고 성능은 좋으나 가격이 비싸고, 중국산은 2만원 정도부터 있는데 2만원대 제품은 성능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왠만한 차량에서 모두 실패없이 잘되려면 피크전류(최고전류)가 1,000A 정도 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4만원~5만원대 제품을 추천한다. 예> 베이스어스 점프스타터 BS-CH001
그리고 차량운행을 오래 하지 않아 차량 방전이 되는 것을 막으려면 차량 실내 왼쪽 하단 퓨즈 박스를 열고 암전류 차단 스위치(노란 스위치)를 off로 내리거나 (뽑는 방식으로 된 차량의 경우) 앞으로 당겨주면 된다. 차량을 운행하려 할 때 다시 On 으로 바꿔주면 된다.
24. 통신 불능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네비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
스마트폰 네비앱에서 전체 지도를 다운로드 받아두고 이 방식을 선택해서 네비를 이용하면 비상사태시 통신 불능상태가 되어도 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방법 :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에서 네비앱인 카카오네비나 티맵을 사용할 경우 실시간으로 지도정보와 교통정보를 모두 받게 되는데 지도전체를 미리 다운로드 받아두고 이것을 이용하는 방식을 선택하면 지도 정보는 스마트폰에 저장되어있기에 그때부터 업데이트 되는 실시간 교통정보만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큰 지장은 없다. 몇일이나 몇주에 한번씩 최신지도로 업데이트해주면 지도와 교통정보 모두 업데이트 되기 때문이다.
< 카카오 네비앱 > : 앱을 열고 화면 오른쪽 제일 하단 "더보기" 버튼을 누른다.
위에서 두번째 줄의 "길안내 설정"을 누른다. 위에서 6번째 줄의 "지도 다운로드 설정"을 누른다. "전체 지도 다운로드"를 체크해 활성화해주면 된다. 다운로드는 3분~5분 정도 걸린다.
< 티맵 > : 앱을 열고 화면 오른쪽 제일 하단의 "전체" 버튼을 누른다. 오른쪽 상단의 "톱니바퀴" 모양을 누른다. 중간쯤에 있는 "다운로드 지도 사용"의 온오프 바를 활성화해주면 된다. 다운로드는 3분~5분 정도 걸린다.
그리고 가끔씩 최신지도로 업데이트를 해주려면 "최신지도로 업데이트"를 눌러주면 된다.
2024. 5. 30 추가함 :
아래글도 함께 참고하면 좋다.
집 현관문 도어락은 열쇠형으로 교체하는 것이 좋다.
https://natzam1.tistory.com/212
쉽게 감 따는 법
https://natzam1.tistory.com/40
야채(상추, 깻잎)가 귀해지면 비비추를 먹자.
https://natzam1.tistory.com/198
유용한 생활 기술 1
https://natzam1.tistory.com/141?category=1175853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채(상추, 깻잎)가 귀해지면 비비추를 먹자. (0) | 2024.04.05 |
---|---|
유용한 생활기술 2 (1) | 2022.12.23 |
유용한 생활 기술 1 (0) | 2022.12.07 |
쉽게 감 따는 법 (0) | 2021.06.06 |
어려운 시대를 살아가는 생활의 지혜 (0) | 2021.06.03 |